본문 바로가기
하수처리기술

활성슬러지 변법(순산소 활성슬러지법2)

by 챡형 2022. 8. 12.
반응형

마. 포기장치 

포기장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 

  1) 산소를 효율적으로 잘 용해시킬 수 있는 장치로 한다. 

포기장치의 능력은 포기조에 있어서 필요산소량의 용해 및 혼합액의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가에 좌우된다. 필요능력은 하수의 성상 및 포기조의 형상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교반날개의 형상 및 길이, 침적심, 회전수, 저부교반기의 유무, 전동기의 출력 등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포기장치에는 산소의 용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교반날개를 설치하는 것 외에 H/(W.L)^1/2이 0.3을 넘는 경우에는 활성슬러지의 침전방지 및 조내에서 교반과 산소확산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보조 교반날개를 설치한다. 

  2) 조의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회전축은 수봉식으로하여 산소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3) 유입부하의 변동에 대해 산소공급제어가 쉬운 장치로 한다. 구동용 전동기는 유입부하변동에 대해 산소공급량을 제어하여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도록 회전수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바. 산소발생장치

산소발생장치는 공기의 액화분류에 의한 것(심냉분리방식)과 선택적으로 산소를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해서 압력변화에 따라 산소를 분리하는 것(흡착분리방식)이 있다. 전자는 대규모방식이고 보통은 흡착분리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흡착분리방식은 가압식과 감압식으로 구분되나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형인 감압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감압식 흡착분리방식에 의한 산소발생장치의 구성은 공기를 가압하는 공기압축기, 3탑 또는 4탐으로된 흡착탑, 공기중의 수분과 유분을 분리하고 제거하는 미스트 분리기, 연결배관, 자동변화밸브와 기타 조작용 제어기구, 배가스의 질소제거장치, 경보장치, 제어판넬 등이 있다. 

  1) 용량은 계획1일 최대하수량에 대해서 필요산소량과 산소전달효율을 고려하여 정한다.  산소발생장치의 적정한 용량을 정하는데 있어서는 조내의 필요산소량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산소량은 표준 활성슬러지법의 용존산소 농도 및 필요산소량을 참조하여 구할 수 있다. 반응조로의 공급되는 산소 중량 및 체적은 필요산소량과 산소전달효율, 산소가스의 밀도 및 산소가스의 순도로부터 구할 수 있다. 포기조에서 산소전달효율은 85~90%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산소발생장치의 설계에 있어서는 수량 및 수질의 시간변동을 고려하여 첨부두하에 대해 설계하여야 한다. 

  2) 산소발생장치는 예비를 마련해 두고 계열수가 작은 경우 고장에 대비해서 예비의 액체 산소저장설비를 설치한다. 산소발생장치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원칙적으로 산소발생장치의 예비기를 설치하거나, 액체산소저장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액체산소저장설비는 처리장의 규모, 산소구입의 용이성 등을 감안해서 저장용량을 전한다. 이 저장설비는 고압가스취급법의 적용을 받는다. 한편 산소저장조내의 산소 1일 0.3%정도의 비율로 증발하므로 정기적인 보충이 필요하다. 

  3) 소음대책을 고려한다. 

공기흐름, 자동교체밸브 등에 의한 소음의 방지대책으로 산소발생장치는 옥내에 설치하고나 차음설비를 설치한다. 

사. 이차침전지

이차침전지의 수면적부하 및 월류부하는 표준 활성슬러지법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순산소활성슬러지법에서는 MLSS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반송슬러지를 항상 높은 농도로 안정되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효수심은 활성슬러지를 양호하게 농축하기 위해 3m  이상으로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