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 혼화˙응집˙침전시설 운영관리(2) 3. 응집지(플록형성지)의 특징 혼화지에서 급속혼화(&응결)로 생성된 미소플록이 3단의 응집지에 의하여 속도가 저하되고 플록끼리 서로 충돌하여 점점 대형화되어 침전지에서 하중에 의해 가라앉게 된다. 가. 응집시설의 설치목적 및 기능 혼화가 완료되어 생성된 미소 플록들을 서로 결합시켜 크고 침전이 가능한 입자로 성장시키는 공정이며, 미세 floc이 서로 충돌하며 성장하고 성장한 floc들이 파괴되지 않아야 하며 단락류가 없어야 한다. 나. 응집공정 운영 1) 적정 교반방법 및 교반강도(G) 적정 G값 범위의 상수도 시설기준 0~75 sec^-1, 일본 Kawamura 기준 10~50 sec^-1이다. G값이 과대할 경우 플록의 파괴가 발생하며 과소일 경우 단락류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하고, 교반강도 .. 2022. 1. 5. 혼화˙응집˙침전시설 운영관리(1) 1. 혼화˙응집 이론 본 공정은 착수정 이후 응집제 투입 및 급속교반을 통해 응집제와 탁질 성분이 반응하여 미세 플록이 형성되는 혼화 공정과, 미세한 플록들이 완속교반을 통해 한층 더 큰 입자의 플록으로 응집되는 응집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응집 과정은 1단, 2단, 3단으로 교반강도를 감소시키는 점감식 공정을 통해 형성된 플록이 점점 더 크기가 커지며, 강한 교반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 개요 1) 물속의 불순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수중 불순물은 토양의 침식, 동식물의 부패, 동물의 배설물, 산업용 오˙폐수 등으로부터 기인하며, 침전 가능한 고형물(settleable solids)의 크기는 0.01mm이상이다. 모래나 무거운 점토질(Silt) 등은 응집제 없이 중력에 의한 제.. 2022. 1. 5. 하수처리 개요(2) 5. 활성슬러지법의 설계 및 운전인자 가. 활성슬러지 미생물은 산화와 동화작용을 통해 하수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하여 증식하고 하수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처리한다. 미생물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처리성능과 수질이 변화하는데 F/M비, BOD 용적부하, MLSS농도, SRT, 송풍량, 포기시간, 슬러지반송비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 F/M비(Food/Micro-organism) (1) 포기조 내 단위 미생물량이 처리하는 유입 유기물량 또는 단위 미생물량에 가해지는 유기물량을 의미하며, 유기물을 BOD 활성슬러지 미생물을 반응조내의 SS로 표현하여 BOD-SS부하(kgBOD/kgMLSS·d)로도 표현하며 설계와 운전관리의 주요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2) F/M비가 낮으면 미생물의 먹이.. 2022. 1. 4. 하수처리 개요(1) 1. 생물학적 처리의 기본원리 가. 생물학적 처리는 하수 또는 폐수(이하 하수로 표기)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영양물질 박테리아, 조류, 원생동물 등 혼합 미생물 즉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나. 생물학적 처리는 산소의 존재여부와 산소의 형태에 따라 호기(oxic), 무산소(anoxic) 및 혐기(anaerobic) 조건으로 구분하며, 각 조건에서 제거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조건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요구 하는 수준까지 제거하게 된다. 이외에 산소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임의성, 특별한 처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호기, 무산소, 혐기 조건을 적용하는 호기/무산소/혐기 조건이 있다. 다. 하수처리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채택하는.. 2022. 1. 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